08
24
반응형

Shanghai, China (Published on February 1, 2018 / Kido Dong)


 중화인민공화국(中华人民共和国) 또는 중국(中国)은 대외적으로는 민주집중제인 사회주의 인민공화국을 표방하나 실질적으로 중국 공산당이 일당 독재하는 권위주의 국가이다. 20세기 후반 이후 시장경제 체제를 도입하는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뤄내며 경제력으로는 세계 2위 규모, 세계에서 가장 많은 약 14억의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중국의 시장경제 특성은 어마어마한 규모의 내수시장을 이용하여 외국기업의 자본과 기술을 유치, 합작 회사를 만들고 이를 흡수하여 자국 내 기술력을 향상시키는 형태인데 모든 제조분야에 걸쳐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자동차 산업 역시 비슷한 형태로 발전했고, 여러 글로벌 자동차 회사들과 합자 회사를 설립하면서 강력한 내수시장을 통해 기술력과 노하우를 축적해왔다. 초기에는 글로벌 제조사들의 차량들을 그대로 가져와 생산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현재에 이르러 중국 자동차 제조사들은 독자적인 모델 생산이 가능하고 이를 넘어 자동차 시장 흐름에 맞게 빠르게 변화하면서  시장을 주도하는 흐름까지 보이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다.

 앞서 설명한 글로벌 기업에 속하는 중국의 자동차 회사는 중국 자동차 제조사 빅5라고 불리는 국영기업이며 합자회사 뿐만 아니라 자체 출자를 통해 여러 자회사를 거느린 거대 기업 이치자동차 / 둥펑자동차 / 상하이자동차 / 창안자동차 / 체리자동차이다.

 

 

 

 

 

 


정식 명칭 : 中国第一汽车集团有限公司(China FAW Group Co. Ltd.)
설립일 : 1953년 07월 15일

 

 이치자동차(=디이자동차)는 1950년 "중국중앙중공업부(中央重工业部)"에서 자동차공업준비위원회가 설립되면서 치밀한 조사와 준비 끝에 3개년 계획을 승인, 1953년 마오쩌둥(毛澤東, Máo Zédōng) 국가주석과 저우언라이(周恩來, Zhōu Ēnlái) 총리가 소련의 자동차 회사였던 "ZiL(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 Завод имени Лихачёва, 모스크바 오토모티브 소사이어티)"의 지원을 통해 설립되었다.

 1956년 인민해방국을 위한 중형 트럭인 "CA-10"차량을 제조, 1958년에는 "CA-30"을 출시했다. 승용차량은 "둥펑(Dongfeng)"이라는 중국 최초의 승용차가 먼저 출시하긴 했지만 작고 가벼운 승용차에 불과했기 때문에 관용차와 의전차량으로는 쓸 수 없었고 이에 FAW에서는 1958년 자회사로 "홍치(Hongqi)"를 설립해 고급 승용차인 "CA72"를 출시했다. CA72는 마오쩌둥이 10주년 건국기념일때 의전차량으로 사용하면서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이후에도 중국 주석들의 의전용으로 자주 사용되면서 홍치는 미국의 캐딜락, 일본의 렉서스와 같이 중 중국 내 럭셔리 자동차로 최고의 브랜드 가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1958년에 마오쩌둥과 중국 공산당이 영국을 따라잡기위한 경제성장 계획인 "대약진 운동(大跃进运动, Great Leap Forward)"의 실패로 FAW 또한 필요한 재정 및 경영 자원이 일시적으로 고갈되면서 어려움에 직면했다. 대약진운동으로 인해 수천만의 중국 인민들이 아사하고 경제가 나락으로 추락하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낡은 사상, 낡은 문화, 낡은 풍속, 낡은 관습을 타파하여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기반한 이타주의적이고 자기희생적인 사회주의 문화를 창조하자는 명목으로 1966년 무산계급문화대혁명(無産階級文化大革命, the Great Proletarian Cultural Revolution)을 실시했으나 이역시 실패하면서 완전히 몰락하는것처럼 보였으나 저우언라이의 정치적 불균형을 종식시키고 정부차원에서의 지원을 통해 FAW를 정상궤도에 올려놓을 수 있었다.

 1968년에는 중국 정부가 차량 생산 거점을 다양화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현재의 둥펑자동차(东风汽车, Dongfeng Motor Corporation)인 "중국 제2자동차제조공장"(中国第二汽车制造厂)"이 설립되었는데 1980년대 들어 FAW가 시장자본주의 경제와 경쟁 체제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30여 년간 유지해온 자동차 1위 기업의 지위를 둥펑자동차에게 내주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중형 트럭의 완전한 재설계를 통해 혁명적인 새 트럭과 공장 현대화 캠패인에 돌입했고 제조 공정상에 일본 생산기술이 도입되는 등의 노력을 통해 전통적인 국영기업으로써 국가계획에 의지하는 회사가 아닌 수익성과 이익 우선의 회사로 변화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시장 수요에 맞게 과거보다 훨씬 빠른 속도의 모델 교체주기와 새로운 라인업의 출시 등 현대적인 자동차 회사로 변모할 수 있었다.

 이후 1980년대 후반에는 독일의 "폭스바겐(Volkswagen)"과 일본의 "도요타(Toyota)" 등과 합자회사 설립 및 포괄적인 제휴 관계를 맺기 시작하면서 선진 기술을 활용하여 독자 모델도 개발하면서 사세를 확장, 현재에 이르러 중소형 세단에서 럭셔리급 대형 세단에 이르는 차급별 브랜드 라인업을 갖추게 되었다.

 

  • 주요 계열사 및 브랜드
    1) 홍치((红旗, hóng qí) : 최고급 자동차 브랜드
    2) 번텅(奔腾, Besturn) : SUV와 승용차 브랜드
    3) 올리(欧朗, Oley) : 젊은 층을 타깃으로 한 브랜드
    4) 이치마쓰다(一汽马自达) : 마쓰다 공동 출자 브랜드
    5) 이치제팡(一汽解放) : 중국 자동차 제조 역사상 가장 최초의 중국산 브랜드
    6) 이치지아바오(一汽佳宝) : 미니버스 브랜드
    7) 이치선야(一汽森雅, XENIA) : 다이하츠 자동차와 합작 브랜드
    8) 이치샤리(一汽夏利) : 소형 중저가 토종 브랜드
    9) 이치버스(一汽客车) : 이치자동차그룹 전액 출자 자회사
    10) 이치폭스바겐(一汽大众) : 1991~
    11) 이치아우디(一汽奥迪) : 1988~
    12) 이치토요타(一汽丰田) : 2000~
    13) 이치지엠(一汽通用) : 2009~
    14) 하이마자동차(海马汽车) : 마쓰다와 정부의 합자회사
    15) 이치신터(SiTech, 新特) : 전기자동차 브랜드
    16) 이치홍타(一汽红塔) : 담배 브랜드 회사 윈난홍타그룹(云南红塔集团)과 제휴사
    17) 치밍정보(启明信息)
    18) 이치푸웨이(一汽富维) : 자동차 부품사

 

  • 중국이치자동차그룹유한회사(中国第一汽车集团有限公司)
    - 직능 부서 26개
    - 자회사 6개
    - 전액출자 계열사 9개
    - 지주 계열사 5개
    - 참여 계열사 24개

 

  • 중국이치자동차주식회사(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 자회사 8개
    - 전액출자 계열사 14개
    - 지주 계열사 12개
    - 참여 계열사 8개

 


정식 명칭 :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Dongfeng Motor Corporation)
설립 : 1968년

 

 둥펑자동차는 이치자동차(디이자동차)와 같이 "마오쩌둥(毛澤東, Máo Zédōng)"에 의해 차량 생산 거점의 다양화 전략의 일환으로 1968년 "중국 제2자동차제조공장"(中国第二汽车制造厂)"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되었다.

 1975년 독자적으로 최초의 모델인 2.5톤 오프로드 차량인 "EQ240"을 개발하여 생산하기 시작했고 이때 브랜드의 이름을 "동펑(东风)"으로 명명했다.
 1978년에는 두 번째 자동차 모델인 "EQ140"을 출시하면서 군사용에서 민간용 자동차 회사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둥펑자동차는 기술개발을 통한 자체 발전을 추구하는데 그러한 이념의 시작은 1983년 R&D Center 설립과 함께 품질관리를 기초로 하는 전면적인 기술경제 효율 도급제를 실시했다. 그렇게 성장하기 시작한 둥펑자동차는 1987년에 강력한 내수시장을 바탕으로 연간 생산능력 10만 대 이상의 자동차 회사가 되면서 세계 3대 트럭 제조업체가 되었다.

 1990년에는 프랑스 "시트로엥(Citroën)"과 승용차 관련 협약을 체결하면서 트럭뿐만 아니라 승용차 부문에도 진출, 1992년 "둥펑자동차회사(东风汽车公司, Dongfeng Motor Corporation, DMC)"로 사명을 변경하면서 "Fukang Sedan"을 출시했다.
 2003년에는 국내 '기아자동차(KIA Corporation)"와도 합자를 통해 "둥펑위에다기아(东风悦达起亚)"를 설립, 후에 일본의 "닛산(NISSAN MOTOR CORPORATION)", "혼다(Honda Motor Co., Ltd.)"와도 합자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그렇게 사세를 확장하면서 2017년 사명을 "둥펑자동차그룹유한회사(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동풍자동차그룹유한회사)"로 변경했고 2020년대부터 각 합자 브랜드들과 결별하면서 현재는 독자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현재에는 승용차, SUV, MPV, CUV 등 각종 차종의 고급, 중급, 경제형 등 각 등급의 자동차와 대형, 중형, 소형, 특수용도 등 상용차 계열을 포함하는 자체 브랜드 육성에 주력하고 있다.

 

  • 주요 브랜드
    1) 둥펑펑두(东风风度, Dongfeng Fengdu) : CUV 생산 브랜드
    2) 둥펑치천(东风启辰, Dongfeng Venucia) : 중국시장 공략용 브랜드
    3) 동펑펑광(东风风光, Dongfeng Fengon) : SUV 브랜드
    4) 둥펑펑싱(东风风行, Dongfeng Forthing) : 둥펑 류저우 자동차 산하
    5) 둥펑징이(东风景逸, Dongfeng Jingyi) : 승용차 브랜드 / 둥펑 류저우 자동차 산하
    6) 둥펑철룽(东风乘龙: Dongfeng Cheng Long) : 상용차 브랜드 / 둥펑 류저우 자동차 산하
    7) 둥펑링지(Dongfeng Lingzhi) : MPV 브랜드 / 둥펑 류저우 자동차 산하
    8) 둥펑펑션(东风风神, Dongfeng Fengshen) : PSA그룹 차량 기반 브랜드
    9) 둥펑보야(东风岚图. Dongfeng Voyah) : 전기차 생산 브랜드

 


정식 명칭 :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SAIC Motor Corporation Limited)
설립 : 1951년

 

  상하이자동차의 역사는 1951년 상하이 대중교통 수리공장에서 "궤도차(有轨电车)"를 시험 제작하면서 시작되었고 1955년 "상하이내연엔진부품회사(内燃机配件公司)"를 설립하면서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자동차 산업에 진출했다.
 이후 1958년 "상하이동력기계제조회사(动力机械制造公司)"를 설립하는 등 완성차뿐만 아니라 자동차 부품 위주의 사업과 농업기계 관련 사업까지 포함해 사세를 확장해 나갔다.
 같은 해 시험 제작한 "봉황승용차(凤凰牌轿车)"는 이치자동차의 "홍치(红旗)"와 비견될 만큼의 영향력을 가지면서 1960년대 이후 양산에 돌입, 중국 최대 승용차 양산공장이 되면서 도약하기 시작했다.

 1978년 개혁개방 아래 승용차 조립라인의 도입이 허가되면서 1983년 "상하이자동차 트랙터 연합회사(汽车拖拉机联营公司, STAC)"를 설립, 독일 폭스바겐의 산타나 승용차를 소규모 시범 생산하면서 1984년 "상하이폭스바겐 자동차 유한회사(上海大众汽车有限公司, SAIC Volkswagen)"를 설립하기에 이른다. 이후로 상하이자동차는 외국 기술로 경쟁력 있는 자동차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현대적인 자동차 부품 공급망 전체를 처음부터 효과적으로 구축함으로써 현지에서 생산된 자동차 부품의 종류과 품질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렇게 성장하기 시작한 상하이자동차는1995년 독일의 "로베르트 보슈(Robert Bosch)"와의 합작회사 설립, 1997년  미국 GM과의 합작회사 설립 등을 통해 수준 높은 완성차 연구개발 및 생산, 판매를 진행하면서 동력 구동 시스템이나 새시 시스템과 같은 자동차 부품의 연구개발에도 끊임없이 도전해가고 있다.

 

  • 주요 계열사 및 브랜드
    1) 상치롱웨이(上汽荣威, Roewe) : 자체 출자 계열사 / 영국 Rover 기반
    2) 상치밍줴(上汽名爵) : 자체 출자 계열사 / 영국 MG 기반
    3) 상치다퉁(上汽大通, Maxus) : 자체 출자 계열사
    4) 상치위에진(上汽跃进) : 자체 출자 계열사 / 난징자동차그룹유한공사(南京汽车集团有限公司)
    5) IM Motors(智己汽车, Intelligence in Motion Motors) : 알리바바 그룹과 합자 전기차 회사
    6) 화위자동차(华域汽车) : 자동차 부품사
    7) 상하이펑푸기계공장(上海彭浦机器厂) : 공정기계 제조사
    8) 상치폭스바겐유한회사(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 폭스바겐과의 합작사
    9) 상치통용(上汽通用) : GM과의 합작사
    10) 상치통용우링(上汽通用五菱) : GM, 류저우 자동차와의 합작사 / 산하 브랜드 우링, 바오준(BAOJUN)
    11) 상하이션워(上海申沃, SUNWIN) : 볼보와의 합작사
    12) 난징이웨이커(南京依维柯) : 이베코와의 합작사
    13) 상치홍얜(上汽红岩) : 이웨이커 상용차와의 합작사

 

 상하이자동차는 2004년 쌍용자동차를 인수하기도 했는데 인수 이후 기술유출 및 상하이자동차 내 브랜드에 도입할 차량을 쌍용자동차에서 개발만 하게 함으로써 법정관리 상황까지 내몰렸고 결국 자력회생이 불가능한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그렇게 상하이자동차에서는 2010년까지 쌍용자동차의 모든 기술과 차량 개발 능력을 흡수한 후 인도의 마힌드라 그룹에 매각했다.

 


정식 명칭 :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Changan Automobile Company Limited)
설립 : 1862년

 

 창안자동차의 역사는 18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청나라 중신이었던 "리홍장(李鸿章, lǐ hóng zhāng)"과 "맥카트니 할리데이(Macartney Halliday)"가 1862년 중국 최초 병기 공장인 "상하이양포국(上海洋炮局)"을 설립, 대포를 제작하면서 역사가 시작되었다.
 1864년 영국의 기계설비를 들여와 생산함으로써 중국 근대 공업의 효시를 개척했고 이후 각종 군수물자를 제조하면서 사세를 키워나갔다.

 자동차를 생산한 것은 1958년 군수용 오프로드 차량 "창장46형(长江牌46型)"이 출시되면서부터였는데 이를 기반으로 1984년 일본 "스즈키(Suzuki)"와의 제휴를 통해 민간인이 구매하고 탈 수 있는 소형차량을 생산하기 시작하면서 자동차 업계에 정식 진출했다.

 1993년 "충칭창안자동차주식유한회사(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를 설립했고 2001년에는 미국 "포드(Ford)"사와 공동 출자기업인 "창안포드(长安福特, Changan Ford)"를 설립, 2003년에는 창안포드의 첫 승용차인 "피에스타(Fiesta)"를 출시했다.
 2005년에는 일본의 마쓰다와 "창안마쓰다(长安马自达, Changan Mazda)"를 설립했고 2006년에는 스웨덴의 "볼보(Volvo)"와 합자하여 "창안볼보(长安沃尔沃, Changan Volvo)"를 설립하기도 했다.

 자체 브랜드는 2006년 베이징 모터쇼에 출품한 소형 승용차 "뻔뻔(奔奔)"을 시작으로 2013년 "라에톤(RAETON, 睿骋)"이라는 이름의 첫 중형 세단을 출시했다.
 포드, 마쓰다, 볼보 등 글로벌 회사들과의 협력을 통해 축적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새로운 차종을 개발하여 출시하고 있다.

 현재는 "중국병기장비그룹(中国兵器装备集团有限公司, China South Industries Group)" 산하의 국영 자동차 제조기업이며 강력한 성장 의자와 외국 합작사를 통한 기술 수준의 향상, 정부의 지원이라는 강력한 성장 원동력을 토대로 성장해가고 있다.

 

  • 주요 계열사 및 브랜드
    1) 창안콰웨(长安跨越) : 충칭콰웨그룹(重庆跨越集团)과 공동출자사 / 상용차 브랜드
    2) 창안오샹(长安欧尚) : 승용차 브랜드
    3) 하페이자동차(哈飞汽车)
    4) 창안장링(长安江铃, Jiangling Motors CO., LTD. : JMC)
    5) 창안스즈키(长安铃木, Changan Suzuki)
    6) 창안포드(长安福特, Changan Ford)
    7) 창안PSA (长安标致雪铁龙, Changan PSA)
    8) 창안마쓰다(长安马自达, Changan Mazda)
    9) 창안볼보(长安沃尔沃, Changan Volvo)

 


정식 명칭 :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Chery Automobile Co. Ltd.)
설립 : 1997년 01월 08일

 

 체리자동차 역시 국영기업으로 중국 안후이(安徽)성 우후시(芜湖市) 정부에 의해 탄생했다.
 1991년 홍수로 인한 재해를 복구하는 도중 자동차 제작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낙후된 시골 정부에서 자동차 생산이 어렵다는 것을 느낀 우후시 정부는  "이치자동차(第一汽车)"와의 합작투자를 통해 "이치양즈자동차섀시공장(一汽扬子汽车底盘厂)"를 설립하기도 했으나 경영난으로 1995년 우후시 정부와의 합작관계는 청산되었다.

 이치자동차와의 합작관계가 청산된 이후 우후시 정부는 자동차 제작을 포기할 수 없었고 이치자동차에서 근무하던 같은 고향 출신의 "인통위에(尹同跃, yǐn tóng yuè)"를 설득해 새로운 자동차 제작을 위해 1997년 "안후이자동차부품공업회사"를 설립, 미국 "포드(Ford)"로부터 엔진 1대와 생산라인 1개를 도입해 인통위에의 헌신적인 노력을 통해 자동차를 제작할 수 있는 자체 기술을 확보할 수 있었다.

 1999년 독일 폭스바겐의 "세아트 톨레도(SEAT Toledo)"로부터 허가받은 새시를 이용해 "펑윈(风云)"이라는 첫 자동차를 출시했고 이는 대성공을 거두었다.
 하지만 초기 생산할 때에는 중국 정부로부터 승용차 생만 면허를 취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불법으로 판매되었고 이후 "상하이자동차(SAIC)"에 지분 20%를 내주면서 허가증을 빌려서 사용하다가 2003년이 되어서야 중앙정부로부터 허가를 받을 수 있게 되었다. 허가를 받은 이후 정식적으로 현재의 체리자동차로 사명을 변경했다.

 이처럼 체리자동차는 중앙정부의 계획하에 생겨나게 된 다른 자동차 제조사와 달리 시골 정부였던 우후시 정부에 의해 생겨나게 되면서 제대로 된 지원을 받지 못해 초기 불법적인 형태로 차량을 생산했고 여기에 더해 초기 개발 및 생산한 자동차가 허가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 다른 자동차 회사의 디자인을 그대로 도용, 피해 회사로부터 고발을 당하는 등 체리자동차 초기에는 불법과 무단 도용 자동차를 생산해 사세를 키웠다.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는 다른 거대 자동차 회사와 같이 글로벌 자동차 업체와의 제휴를 모색했고 미국 "크라이슬러(Chrysler)", 이탈리아의 "피아트(Fiat)", 영국 "재규어(Jaguar)", "랜드로버(Land Rover)" 등 여러 업체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비록 시작이 불법과 무단 도용이 난무한 자동차 회사였으나 현재에 이르러 중국 토종 브랜드로 내수 시장에서 최다 판매실적을 보유하고 있고 여러 글로벌 업체들과의 제휴를 통해 자체 기술력과 연구개발팀을 갖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전기차 시장에 빠르게 대응하면서 중국 내 생산 1위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 주요 계열사 및 브랜드
    1) 체리(奇瑞, Chery)
    2) 카이루이(开瑞, Karry)
    3) 카이이(凯翼, Cowin Ruto)
    4) 제투(捷图, JETOUR)
    5) 싱투(星途, EXEED) : 고급 브랜드
    6) 쿠오로스(Qoros, 观致汽车)
    7) 체리재규어랜드로버(奇瑞捷豹路虎)

 


 

 

 

 

 

반응형

※ 사용된 회사 로고는 퍼블릭 도메인 혹은 자유이용 저작물이 아닌, 독점적 저작권이 존재하는 이미지입니다.
      본 블로그는 제한된 한도 내에서 이용합니다. (출처 : https://namu.wiki/)

※ 사용된 이미지는 상업적 이용이 가능한 무료 이미지입니다. (출처 : https://unsplash.com/@likeakid)

728x90
반응형

'Series > S1: 국가별 자동차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자동차 회사 - 3부  (0) 2022.08.25
중국 자동차 회사 - 2부  (0) 2022.08.24
베트남 자동차 회사  (2) 2022.08.23
아랍에미리트 자동차 회사  (0) 2022.08.23
말레이시아 자동차 회사  (0) 2022.08.23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