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
20
반응형

Published on October 5, 2019 / Dragoș Grigore

 

 

 

 

 

 


 오늘날 자동차의 편의장비 중 하나인 HUD(Head Up Diaplay)는 전투기에서 시작되었다.

 HUD의 시작은 영국이었는데, 1940년대 초 영국의 전기통신 연구기관 "TRE(Telecommunications Research Establishment)"에서 전투기 조종사들이 목표물에 접근하면서 무전기를 통해 전달되는 지시 내용을 따르는데 곧바로 반응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1942년 표적에 대한 탄환 투하를 자동으로 계산하는 시스템인 "자이로 건사이트(Gyro Gunsight)"를 전투기 앞유리에 띄우는 데 성공했다. 이를 계기로 개발을 거듭했고 1958년 영국 해군의 항공모함 대응 공격기인 "블랙번 뷰케니어(Blackburn Buccaneer)"에 고도, 비행속도, 조준경 등을 하나로 통합한 오늘날의 HUD와 유사한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Fig.1 D-ADLR "HALO" approaching storm front

 

Fig.2 VH-DIE PZL-Mielec SBLim-2 Hempels Aviation

 

Fig.3 Blackburn Buccaneer

 

 

 이후 HUD는 1970년대에 상업 항공에도 도입되었고, 1988년 미국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 GM)"의 자동차 브랜드였던 "올즈모빌(Oldsmobile)"의 "커틀래스 슈프림(Cutlass Supreme)"이란 자동차에 최초 적용되었다.

 

Fig.4 1988 Cutlass Supreme Classic

제너럴 모터스 역사 [바로가기]

 

 

 1989년에는 일본 "닛산(NISSAN)"의 "240SX"에 HUD가 적용됐고 1998년에는 "쉐보레(Chevrolet)"의 "콜벳 C5(Corvette C5)"에 최초 컬러 HUD가 적용되었다.

 

Fig.5 1998 Chevrolet Corvette C5 at Hatfield Heath Festival 2017

닛산 역사 [바로가기]

쉐보레 역사 [바로가기]

 

 

 여러 국가의 자동차 제조사에서 HUD 시스템이 적용되면서 발전하기 시작했고 초기에는 차량의 "OBD(On-Board Diagnostics)"정보를 읽어 들여 속도계, 회전속도계(RPM)를 제공했지만, 이후 1999년 미국 "캐딜락(Cadillac)"에서는 "DTS"차량에 야간 비전을 탑재한 HUD 시스템이 개발되었고, 2012년에는 일본의 "파이오니어(Pioneer Corporation)"에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이 적용된 HUD 내비게이션 시스템이 개발되기도 했다.

 

Fig.6 HUD Design by Toyota Vehicles

캐딜락 역사 [바로가기]

 

 

 HUD 시스템은 고급차뿐만 아니라 소형차에도 적용되는 등 대중화되어 가고 있으며, 앞유리 전체를 HUD 시스템으로 사용하는 등의 첨단 IT기술분야로써 치열한 경쟁 속에 발전해가고 있다.

 국내에는 2012년 "기아자동차(KIA Motors)"의 "K9"에 최초 HUD 시스템이 적용되었다.

 

 

 


 

 

반응형

※ 사용된 본문 내 사진은 본 블로그에서 제한된 한도 내에서 이용합니다. (출처 : https://commons.wikimedia.org/)

 - Fig.1 출처 [바로가기]

 - Fig.2 출처 [바로가기]

 - Fig.3 출처 [바로가기]

 - Fig.4 출처 [바로가기]

 - Fig.5 출처 [바로가기]

 - Fig.6 출처 [바로가기]

※ 사용된 이미지는 상업적 이용이 가능한 무료 이미지입니다. (출처 : https://unsplash.com/@skyclear)

728x90
반응형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