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ntents]
1. 사브의 탄생
1930년대 스웨덴은 세계 대전의 위협 속에 있었는데, 중립국이었던 스웨덴은 육군과 해군은 유럽국가들 사이에서 뒤지지 않았지만 항공기를 생산하지 못해 상대적으로 공군력이 약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당시 스웨덴 총리였던 페르 알빈 한손(Per Albin Hansson)이나 다른 정치인들 또한 스웨덴 자체 기술력으로 항공기를 생산해 중립국으로서 확고한 기반을 다지고자 했다.

이러한 스웨덴 내부의 고민은 1943년까지 297대의 전투기와 95대의 훈련기를 제작하겠다는 구체적인 목표로 설정되었고 이를 진행하기 위해 볼 베어링 업체인 SKF(AB Svenska Kullagerfabriken)의 공동설립자 중 한 명이자 당시 보포스(Bofors)*의 전무이사였던 스벤 구스타프 웽퀴스트(Sven Gustaf Wingquist)와 스웨덴의 금융가와 기업가로 알려진 가장 영향력 있고 부유한 가문인 발렌베리(Wallenberg)*의 마커스 발렌베리(Marcus Wallenberg), 일렉트로룩스(Electrolux)*의 대표였던 액셀 레너드 배너-그렌(Axel Leonard Wenner-Gren)이 트롤헤탄(Trollhättan)에 Svenska Aeroplan AB를 설립했다.

또한 같은 시기 1936년부터 전투기 제조 및 설계를 위해 당시 스웨덴에 있던 ASJ*라는 철도차량과 항공기를 제작하는 회사와 무기 제조업체였던 보포스 간 단일 회사를 설립하는 것에 대한 논의에 대한 결과로 1937년 03월 31일 ASJ의 항공기 부문 자회사였던 ASJA와 Bofors가 주식을 균등하게 분할해 연합 항공기 공장이라는 의미의 푸레나데 플리그베르크스타더(Förenade Flygverkstäder, AFF)가 설립되었다. 이 과정에서 E. 스파르만 항공기 제조소(E. Sparmanns flygplanverkstad)도 인수되었다.


1939년에는 Svenska Aero AB가 경쟁사였던 ASJA를 인수하면서 본사를 린셰핑(Linköping)으로 이전했다. 그렇게 1940년 출시한 SAAB 17과 같은 전투기를 만들면서 스웨덴의 공군력을 강화시켰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인 1948년에는 미국과 소련 전투기와 동등한 성능을 가지는 툰난(Tunnan)을 출시해 스웨덴뿐만 아니라 오스트리아(Österrike)에 배치되기도 했다.

자동차 부문은 1945년에 항공기 기술을 바탕으로 트롤헤탄(Trollhättan)에서 소형 자동차 생산을 위한 프로젝트로 처음 시작되었고 1965년에서야 지금의 이름인 SAAB AB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1968년에는 스카니아-바비스(Scania-Vabis)와 합병해 사브-스카니아(SAAB-Scania AB)를 설립했다.

이후 SAAB 자동차는 항공기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전을 중시해 튼튼한 차체와 새로운 안전장치, 전조등에 와이퍼를 달거나 자동 복원 범퍼 등 여러 새로운 시도를 하며 인정받았다. 또한 실제 발생한 교통사고들을 토대로 탑승자의 안전에 대한 연구분석들을 반영함으로써 미국에서는 의사가 타는 차라는 이미지가 있을 정도로 주행의 재미보다 안전을 중시하는 고소득 근로자들에게 많은 인기가 있었다.
2. 사브의 최초 자동차
비행기 제작 기술을 바탕으로 자동차 업계에 뛰어든 사브는 1949년 92001, X9248이라는 코드명의 우르사브(Ursaab)를 만들어냈다. 당시 오펠(Opel)의 카데트(Kadett), 폭스바겐(Volkswagen)의 비틀(Beetle) 등과 같은 소형 독일 자동차와 경쟁하기 위해 디자인되었고 모노코크* 형태로 제작되었다.

설계 당시 엔지니어들은 폐차장과 여러 자동차를 구입해 자동차에 대한 기술력을 수집했고 항공기 디자인을 토대로 구조적 무결성을 위해 2열 창문이 작동되지 않게 설계되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공기역학 테스트를 통해 0.30의 낮은 항력계수를 가진 디자인이 결정되었고 사고 발생 시 운전자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도 놓치지 않았다. 또한 겨울철 주행 시에도 주행할 수 있는 것들 것 고려되었다.

그렇게 시제품을 만들어본 사브는 1949년 01월 02일 최초의 양산자동차인 Ursaab기반의 SAAB 92라는 이름을 가진 2인승 소형차를 출시했다. 이는 최초로 사브에서 양산된 자동차이며 시제품과 동일한 0.30의 항력 계수 값을 가지고 있었다.

당시 독일의 DKW(Dampf Kraft Wangen) 설계를 기반으로 가로 방향의 764cc의 2 기통 엔진이 탑재되었고 25마력을 냈으며 최고 속도 105km/h로 달릴 수 있었다. 또한 초기 출시되는 모든 자동차는 녹색이었는데 이로 인해 사브를 상징하는 색이 되었다. 출시된 지 4주 후 사브 92는 랠리에도 참가해 2위를 차지하면서 자동차 레이스에서도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고 1952년에는 몬테 카를로 랠리(Monte Carlo Rally)에서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최초 출시 이후 여러 버전으로 개량되었고 마지막 사브 92는 1956년부터 만들어져 20,128대가 출고된 후 1957년에 단종되었다.
3. 사브의 몰락
스웨덴에서 볼보와 함께 성장하던 사브는 안전에 관련한 것에만 치중한 나머지 디자인을 중요시하는 트렌드를 따라가지 않았고 이로 인해 판매량 대비 안전에 대한 부분의 개발 비용만 커지면서 경제적인 어려움에 처하게 된다. 결국 고급차 브랜드를 필요로 하던 미국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의 50% 지분을 받아들여 1994년 SAAB Automobile AB로 분리(2000년에 제너럴 모터스에서 지분 전량 매입)되었고 스카니아(Scania)는 2008년 폭스바겐(Volkswagen)에 매각되었다.

제너럴 모터스 산하에서 SAAB는 라인업과 디자인을 개선해 전통과 진보를 모두 담은 구성으로 성공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름에 따라 SAAB의 소형차들이 점점 인기를 잃어갔고 제너럴 모터스에서는 구조조정 전문가까지 대동해 새로운 생산전략과 고객층을 선정해 SAAB의 디자인에 미국식 디자인을 덧칠하기 시작했다. 시장의 반응은 당연히 냉담했고 폭스바겐 그룹 등의 선전에 점점 자리를 잃어가기 시작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제너럴 모터스 또한 위기에 빠지자 2010년 02월 23일 네덜란드(Netherlands)의 스파이커(Spyker)에 매각했다.

하지만 스파이커 또한 SAAB의 부진한 실적을 감당할 수 없었고 스파이커와 SAAB 모두 위기에 빠졌다. 2011년 03월 30일 SAAB에 부품을 공급하는 모든 협력사들이 공급을 중단했고 2011년 04월 05일 SAAB 공장의 모든 생산이 중지되었다. 이에 스파이커 측에서는 투자를 받기 위해 중국으로 눈을 돌렸고 여러 회사들이 투자 의사를 밝혔지만 제너럴 모터스 측에서 중국 파트너가 어떤 형태의 개입이라도 이루어진다면 제네럴 모터스의 특허 및 기술 라이선스를 유지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모든 것이 무산되었다. 결국 2011년 12월 19일 SAAB는 몇 년간의 투쟁 끝에 공식적으로 파산 신청을 했다.

2012년 06월 13일 중국 최대 규모의 부동산 건설사 헝다부동산(恒大地产 )을 주축으로 하는 헝다그룹(中國恒大集團, China Evergrande Group)에서 SAAB의 지분을 취득했고 NEVS(National Electric Vehicle Sweden)라는 이름으로 SAAB의 기술을 토대로 한 전기차 회사가 설립되었다. 하지만 제너럴 모터스의 기술 거부와 SAAB 측의 상표에 대한 권리를 취득하지 못하면서 2016년 06월 상표에 대한 권리를 NEVS에서 끝내 취득하지 못하면서 SAAB Autmobile AB라는 회사는 존속하나 SAAB 브랜드는 사라졌다.
2021년 헝다그룹 파산설이 나왔고 NEVS에도 그 여파가 미쳐 2023년 02월 23일 트롤헤탄 지부에서 근무하던 340명의 직원들을 해고한 후 공장과 부지가 매각되었다. 이후 2023년 04월 볼보의 전기자동차 자회사인 폴스타의 차량 테스트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스웨덴 자동차 회사
스웨덴은 북유럽에서 가장 많은 인구와 역사적으로 스칸디아비아 지역의 패자로 군림하는 등 전통적으로 북유럽을 주도하는 국가였고 풍부한 자원 활용을 통한 기계, 전자, 전기 등의 산업이
aitch9.tistory.com
*보포스(Bofors)
1646년에 스웨덴의 베른란드(Värmland) 지역의 칼스코가(Karlskoga)에 제철소로 설립되어 1870년대에 선도적인 철강 제조업체로 성장, 1800년대 후반 총기 분야의 기술 발전으로 새로운 강철 등급과 제조 기술이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무기 제조업체로 성장했다.
1991년에는 스웨덴의 방위산업 그룹인 셀시우스(Celsius AB)에 인수되었다. 1999년에는 SAAB 그룹이 셀시우스를 인수하면서 일부 영역은 미국의 유나이티드 디펜스(United Defense)에 매각됐고 또 다른 영역은 SAAB Bofors Dynamics라는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유나이티드 디펜스가 2005년 영국의 방위산업 그룹인 BAE Systems에 인수되면서 유나이티드 디펜스는 BAE Systems에 흡수되었고 Bofors는 BAE System Bofors로 이름을 변경했다. 2006년에는 스웨덴에 BAE Systems가 BAE Systems AB라는 이름의 유한 책임회사를 설립해 BAE Systems Hägglunds와 BAE Systems Bofors AB 두 개 회사를 운영하고 있다.
*발렌베리(Wallenberg)
발렌베리 가문은 스웨덴에서 가장 부유한 가문으로 앙드레 오스카 발렌베르크(André Oscar Wallenberg)가 미국에서 배워온 금융 관련 지식을 기반으로 1856년에 세운 Stockholms Enskilda Bank 은행을 설립하면서 부를 축적했다.

1990년에는 스웨덴 GNP(Gross National Product, 국민총생산) 30%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정도였고 현재는 은행가, 기업가, 정치인, 관료, 외교관, 군 관료 등 여러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다.
*일렉트로룩스(Electrolux)
일렉트로룩스는 1908년 설립된 Aktiebolaget Lux와 1910년 설립된 Elektromekaniska AB가 1919년 합병하면서 설립되었다. 본사는 스톡홀름(Stockholm)의 스타스하겐(Stadshagen)에 위치하고 있다. 설립 초기부터 진공청소기를 판매했고 1925년부터 냉장고를 판매했다. 이후 여러 가전제품들을 생산하면서 사세를 키워나갔고 1957년 Elektrolux라는 이름에서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현재의 Electrolux로 변경되었다.
1950년대와 1960년대를 거치면서 최초로 경쟁업체를 인수해 가며 사세를 키워나가는 방식을 택했고 이로 인해 197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약 60개에 달하는 회사를 인수하면서 글로벌 가전제품 회사로 성장했다.
그렇게 성장한 일렉트로룩스는 현재에 이르러 세계 150개국에서 여간 4,000만 대 이상의 제품을 판매며 51,000명의 직원을 둔 거대기업으로 성장했다.
*ASJ
1907년 칼 요한(Carl Johan)과 에를란드 우글라(Erland Uggla) 형제에 의해 스웨덴 철도 공장(AB Svenska Järnvägsverkstäderna, ASJ)이라는 이름으로 스웨덴 남부의 린셰핑(Linköping)에 설립되었다. 이 회사는 철도차량과 항공기를 제작하는 엔지니어링 회사였다.
1930년에는 에를란드 우글라의 주도로 항공기 사업부인 스웨덴 철도공장 항공기 부서 (Svenska Järnvägsverkstädernas Aeroplanavdelning, ASJA)라는 이름의 자회사를 만들었고 1932년에는 1921년 설립된 스웨덴의 항공기 회사인 스웨덴 에어로(Svenska Aero AB)를 인수했고 1931년에는 볼보(Volvo)와 1911년 합병한 스카니아-바비스(Scania-Varbis)를 고객으로 하여 버스와 트럭용 차체를 제조하기도 했다.
*모노코크(Monocoque)
Uni Body로도 불리는 모노코크는 하중을 견디는 구조물과 차체 역할을 하는 부분이 일체화된 형태를 말한다. 대량생산할수록 단가가 낮아지고 경량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에도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보통 철을 사용해 아연 도금을 한 경우가 많다.

고가 차량에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카본 파이버(Carbon Fiber), 두랄루민(Duralumin)이 적용되기도 한다.


'Series > S3: First C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웨덴 코닉세그의 최초 자동차 (4) | 2023.05.25 |
---|---|
스웨덴 스카니아의 최초 자동차 (0) | 2023.05.23 |
스웨덴 볼보의 최초 자동차 (0) | 2023.05.17 |
프랑스 부가티의 최초 자동차 (3) | 2023.05.16 |
프랑스 시트로엥의 최초 자동차 (2) | 2023.05.15 |